본문 바로가기
꼭 필요한 건강과 보험 이야기(보험으로 섬기는 삶)

🦴 대퇴골 경부 골절 (Femoral Neck Fracture, ICD‑10: S72.0) — 노인성 골절과 보험 보장 총정리

by 러든 샘(믿음직한+샘) 2025. 10. 3.
SMALL

1️⃣ 질환명 및 ICD‑10 코드

질환명 : 대퇴골 경부 골절 (Femoral Neck Fracture)

ICD‑10 코드 : S72.0 (대퇴골 경부 골절)

정의 : 대퇴골(넓적다리뼈) 상부, 고관절과 연결되는 목 부분이 부러진 상태를 말합니다. 고령층에서 넘어짐으로 흔히 발생하며, 회복 후에도 보행 장애·합병증 위험이 높은 대표적 노인성 골절입니다.



2️⃣ 상세 원인 (Causes)

🦿낙상 (Falls, 가장 흔한 원인)

미끄러짐·넘어짐 → 대퇴골 경부 취약 부위 골절

특히 노인은 균형감각 저하와 근력 감소로 위험 증가


💢골다공증 (Osteoporosis)

뼈 밀도 감소로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

여성(폐경 후 에스트로겐 감소)에서 빈도 높음


💦외상 (High-energy trauma)

교통사고·산업재해 → 젊은 층에서도 발생


💭기저질환

파킨슨병, 뇌졸중, 시각장애 → 낙상 위험 증가

만성질환(당뇨, 심혈관질환)으로 회복 지연





3️⃣ 전구증상 (Prodromal Symptoms)

골절 전 나타나는 뚜렷한 전구증상은 드물지만, 위험 신호가 존재합니다.

✔️골다공증 증상 : 허리 통증, 키 감소, 척추 변형

✔️보행 불안정 : 균형 감각 저하, 보폭 짧아짐

✔️낙상 전조 : 어지럼증, 저혈압,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실신

✔️통증 : 경미한 고관절·사타구니 통증이 먼저 나타날 수 있음


⚠️ 고령자가 반복적으로 넘어질 경우 반드시 골밀도 검사와 낙상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4️⃣ 진단 및 치료 (Diagnosis & Management)

✅️진단 방법

X-ray : 기본 검사, 대퇴골 경부 골절 확인

CT/MRI : 미세골절, 불확실한 경우 정밀 진단

신체검사 : 하지 단축, 외회전 변형 확인


✅️치료 원칙

1. 수술적 치료 (표준 치료)

내고정술 (Screw, Plate 고정) → 젊은 환자, 뼈질 좋을 때

인공관절치환술 (Hemi/Total Hip Replacement) → 고령 환자, 골다공증 심한 경우



2. 비수술적 치료

수술 불가능한 전신 쇠약 환자 → 침상 안정, 보존적 치료

하지만 합병증(폐렴, 욕창, 혈전) 위험 높음



3. 재활치료

수술 후 24~48시간 이내 보행 재활 시작

물리치료·근력 강화 필수





5️⃣ 치료비용과 실손보험 적용

📊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 기준)

💰 대퇴골 경부 골절 치료비 (한국 기준)

▶️ 단순 입원·검사·기본 치료

내용 : 진단검사(엑스레이, CT, MRI), 진통제, 수액, 기본 물리치료

비용 : 1일 약 20만~40만 원

평균 입원기간 2600만 원




▶️ 수술 치료

① 내고정술 (금속 나사/핀 고정)

건강보험 적용 : 400만~700만 원

상급병원·특수 재료 사용 시 : 최대 1,000만 원 내외


② 인공관절치환술 (Hemi/Total Hip Replacement)

건강보험 적용 : 800만~1,500만 원

비급여 고급 재료 사용 시 : 최대 2,000만 원 이상




▶️ 재활 치료 (외래 포함)

물리치료·작업치료·보행훈련 등

1회 3만 3회 기준 : 월 평균 30만~60만 원




⚖️ 정리 포인트

평균 단순 입원 : 300만~600만 원

내고정술 : 400만~700만 원 (상급병원 시 최대 1,000만 원)

인공관절치환술 : 800만~1,500만 원 (비급여 재료 선택 시 2,000만 원+)

재활치료 : 월 30만~60만 원



💳 실손보험 적용 범위

급여 항목 : 수술·검사·입원 대부분 보장

비급여 항목 : 고급 인공관절 재료, 일부 특수재활 치료 제외

재활치료 : 일부 병원 비급여 → 보장 범위 보험사 약관 확인 필요




6️⃣ 보험 특약과 적용 방식

실손의료비 보장 : 수술·입원·검사 대부분 보장

상해입원일당 특약 : 장기 입원 시 생활비 보전

상해수술비 특약 : 내고정술·관절치환술 보장

재활치료 특약 : 물리·작업치료 비용 지원

간병비 특약 : 노인 환자 장기 간병 필요 시 지급

골절 진단비 특약 : X-ray 진단 시 일시금 지급

골절 수술비 특약 : 골절로 수술 시행 시 추가 지급

질병후유장해 특약 : 보행장애·운동기능 저하 시 보장




7️⃣ 실제 보험금 청구 분쟁 사례 ⚖️

사례

82세 여성 M씨, 낙상 후 대퇴골 경부 골절(S72.0) 진단받고 인공관절치환술 시행. 보험사에 골절 수술비 특약 보험금 청구했으나, 보험사는 “관절치환술은 골절 고정술이 아닌 인공 삽입술이므로 특약 지급 대상이 아니다”라며 거절.

쟁점

보험사는 약관 해석을 좁게 적용

그러나 금감원 분쟁조정 사례에서 “골절 치료 목적으로 시행된 인공관절치환술 역시 골절 수술로 인정” 판례 다수 존재


해결 팁

1. 수술기록지 제출 : 골절로 인한 관절치환술임을 명확히 증명


2. ICD‑10 S72.0 진단서 첨부


3. 금감원 분쟁조정 판례 활용 : “골절 원인으로 시행된 관절치환술은 골절 수술비 지급 대상” 사례 제시




✨ 결론 및 요약

✔️대퇴골 경부 골절(S72.0)은 고령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심각한 노인성 골절입니다.

✔️치료비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발생하며, 장기간 재활·간병으로 경제적 부담이 큽니다.

✔️실손보험 + 골절 진단비 + 골절 수술비 + 상해입원일당 + 재활치료 + 간병비 + 후유장해 특약 구성이 필수적입니다.

보험 분쟁을 예방하려면 반드시 ICD‑10 코드, 수술 목적 기록, 판례 자료를 확보해야 합니다.



---

📚 출처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2023 최신판)

대한내과학회, 『내과학』 (2023)

국민건강보험공단, 『2023 주요질환 진료비 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비 통계지표 (2023)

금융감독원, 보험 분쟁조정 사례집

반응형
LIST